직장인을 위한 근로장려금 가이드

 

근로장려금 직장인


직장인 근로장려금 자격요건 (2025년 기준)

근로장려금은 크게 세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✅ ① 가구 유형 기준

가구 유형설명
단독 가구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배우자·부양자녀 없는 1인 가구 (미혼 포함)
홑벌이 가구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배우자 소득 300만 원 미만 + 부양가족 1명 이상
맞벌이 가구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신청자와 배우자 모두 소득 있음

✅ ② 총소득 기준 (2023년 귀속 기준)

가구 유형         총소득 기준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최대 지급액
단독 가구          2,200만 원 이하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150만 원
홑벌이 가구          3,200만 원 이하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60만 원
맞벌이 가구          3,800만 원 이하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330만 원

✔ ‘총소득’은 근로소득 + 기타소득 + 사업소득 등을 모두 합친 금액
✔ 직장인 월 급여가 **약 180만 원 이하(세전)**라면 대부분 해당


✅ ③ 재산 기준

  • 2023년 6월 1일 기준, 가구 재산 합계가 2억 원 미만

  • 재산에는 주택, 전세보증금, 차량, 예금, 주식 등 포함

  • 1억 4천만 원 초과 시 지급액의 50% 감액


3. 신청 기간 및 방법

📅 신청 기간

  • 정기 신청: 2024년 5월 1일 ~ 5월 31일

  • 기한 후 신청: 6월 1일 ~ 11월 30일 (지급액의 10% 감액)


📝 신청 방법 (간편합니다!)

  1. 국세청 홈택스

    • https://www.hometax.go.kr 접속

    • [신청/제출] → [근로·자녀장려금 신청] 클릭

    • 본인 인증 후 안내에 따라 신청

  2. 모바일 앱 ‘손택스’

    • 국세청 손택스 앱 다운로드

    • 간편 인증 후 5분 내 신청 가능

  3. ARS 전화 신청 (1544-9944)

    • 안내문 받은 경우, ARS로 신청 가능

  4. 세무서 방문 신청

    • 고령자, 모바일 사용 어려운 경우에 권장


4. 직장인 근로장려금 실제 수령 예시

👨 A씨 (단독 가구, 월급 160만 원, 재산 5천만 원)

  • 연 소득 약 1,920만 원 → 단독 가구 기준 충족
    ✅ 최대 150만 원 지급 가능

👩 B씨 (맞벌이, 연봉 2,400만 원 + 배우자 연봉 1,000만 원, 자녀 없음)

  • 총합 3,400만 원 → 맞벌이 가구 기준 충족
    ✅ 최대 330만 원 지급 가능


5.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. 4대 보험 미가입 직장도 신청 가능한가요?
→ 네. 4대 보험 미가입이라도 근로계약서를 통한 소득 증빙이 있으면 신청 가능합니다.

Q. 파트타이머나 아르바이트도 해당되나요?
→ 소득이 기준 이하면 근로기간 상관없이 신청 가능!

Q. 부모님과 같이 살아도 단독가구인가요?
→ 주민등록상 세대 분리되어 있고, 생계 유지도 따로 한다면 단독가구 가능.

Q. 작년에 받았는데 올해도 신청해야 하나요?
매년 새로 신청해야 합니다. 자동 신청 아님!


결론

직장인도 당당하게 근로장려금 받을 수 있습니다.
✔ 소득 적고 재산 적다면 누구나 신청 가능
✔ 온라인 5분 신청, 9월에 현금 지급
✔ 단독 가구 기준 최대 150만 원도 받을 수 있음

지금 바로 홈택스 또는 손택스에서 확인하고, 2025년 근로장려금 꼭 챙기세요!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월 천만원 가능! 올림프 트레이드 회원가입 혜택 (프로모션)

근로장려금 65세 이상 수급자 가이드